------------------------------------------------------- <STYLE TYPE="text/css"> @font-face { FONT-FAMILY: 엔터솔잎9; src:url(http://myhome.naver.com/yk4476/enter_solip9.ewf); } </STYLE> ------------------------------------------------------- 위와 같이 style태그를 넣는데, 보통 위치는 <head>태그 사이에 넣습니다. font-family: 폰트이름; src:url(웹폰트 주소); 인 거지요~ src:url(http://myhome.naver.com/yk4476/enter_solip9.ewf); 로 완전히 http://가 포함된 전체주소를 넣어도 되고, html 이 있는 곳에 웹폰트도 같이 있다면, src:url(enter_solip9.ewf); 로 써도 무방 합니다. 웹폰트이름은 원작 이름을 존중해 주는것이 예의 입니다. 실제 사용법은 원하는 태그 안에 ------------------------------------------------------- style='font-family:엔터솔잎9; font-size:9pt;' ------------------------------------------------------- 요런식으로 씁니다. 예를 들면 ------------------------------------------------------- <A HREF="" style='font-family:엔터솔잎9; font-size:9pt;'></A> ------------------------------------------------------- 이런식도 가능합니다. ------------------------------------------------------- <FONT style="font-size:9pt;" face='엔터솔잎9'></FONT> ------------------------------------------------------- 사이즈는 웹폰트마다 잘보이는 사이즈가 있으므로 반드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모든 홈페이지에 적용을 원하면 위의 style태그를 아래와 같이 바꾸면 됩니다. ------------------------------------------------------- <STYLE TYPE="text/css"> @font-face { FONT-FAMILY: 엔터솔잎9; src:url(./enter_solip9.ewf);} body,table,a,input,form,td {font-family:엔터솔잎9; font-size:9pt;} </STYLE> ------------------------------------------------------- 추가로, 웹폰트는 @font-face를 여러개 사용하여 여러개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 <STYLE TYPE="text/css"> @font-face { FONT-FAMILY: 엔터솔잎9; src:url(./enter_solip9.ewf);} @font-face { FONT-FAMILY: 꼬꼬체; src:url(./kokoche.eot);} </STYLE> ------------------------------------------------------- 하지만, 너무 많은 웹폰트를 쓰면 홈페이지가 느려지므로 적절하게 사용하셔야 합니다. |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