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 2일 월요일

리눅스 VI 편집기 명령어 정리

 

Vi 에디터 사용법


<Vi의 3가지 Mode>


모 드

전환키

설 명

Command Mode

ESC

문서내의 텍스트를 지우거나, 복사하거나, 추가하거나, 삽입하거나, 옮기거나 할 수 있는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Insert Mode

i,a,o,O, ...

문서에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복사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ex Mode

:

맨 아래 라인에 확장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Command Mode>

편집한 파일을 저장하고 닫고, 다른 파일을 편집하고 싶을 때, ESC를 눌러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고,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명  령

설  명

ZZ or :wq

저장하고 vi 끝내기

:w [파일이름]

주어진 파일이름으로 파일 저장하기

:w! [파일이름]

주어진 파일이름으로 저장/덮어쓰기

:q!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vi 끝내기

:e!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최종 저장된 상태로 파일 열기

:w 새파일이름

현재 작업중인 파일을 새파일이름으로 저장하기

:e 열고_싶은_파일이름

vi를 끝내지 않고 다른 파일 편집하기


<Inset(삽입) Mode>

1. 커서의 이동

   다른 에디터처럼 방향키나, 다른 기능키를 이용하여서도 가능하여 요즘은 아래의 키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초창기 버전에서는 아래표의 키만 적용되는 버전도 있음


기 능

입력 키

기 능

h

오른쪽으로 한 칸

b

한 단어 뒤로 이동

j

아래로 한 칸

B

특수문자/기호들은 단어로 치지 않고, 한 단어 뒤로 이동

k

위로 한 칸

w

한 단어 앞으로 이동

l

왼쪽으로 한 칸

W

특수문자/기호들은 단어로 치지 않고, 한 단어 앞으로 이동

0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0

문서의 맨 앞으로

$

라인의 끝으로 이동

:$

문서의 맨 뒤로

^

라인의 첫 번째 단어로 이동










2. 편집 명령


입력 키

기 능

입력 키

기 능

i

insert, 현재 문자 앞에서부터 입력

cw

한단어 change

a

append, 현재 문자 뒤부터 입력

x

한문자 delete

o

현재 줄 아래 한 줄 삽입

O : 현재 줄 위에 한 줄 삽입

y

yank(copy) text, 문자 복사

yw : 단어 복사

yy : 한줄 복사

3yy : 세줄 복사


r

replace


p

put(paste) 현재 줄 다음 줄에 버퍼의 내용을 붙인다.

R

현재 문자 이후부터 replace

P

현재 줄 앞에 버퍼의 내용을 붙인다.

dw

delete word

u

마지막 명령을 Undo

U : 그줄에서 수행한 명령들을 Undo

dd

delete line

J

join, 두 줄을 연결한다.


3. 기타 명령


명  령

설  명

:se nu

:set number

:se nonu

:set nonumber

:set ic

:set noic

^g

각 라인앞에 일련번호를 표시


각 라인앞에 일련번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검색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5

검색시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현재 라인버호를 표시

:ab ttt the

ttt를 the로 상용구 등록

:e filename

:r filename

:sh

:! command

:r !command

filename 불러와 편집

filename을 불러와 커서 위치에 삽입

shell 나들이

shell 명령어 수행

shell 명령어를 vi 화면내에 출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