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FTPD 실행####
> service vsftpd start or restart
CentOS 기반에서 FTP (proftp) 설치 및 운영하기 more..
1.FTP 란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써 쉽게 말해 서버에(=홈페이지) 에 자료를 올리기위한 규정같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른 자료들을 보면 구구절절 내용이 많은데 내용적인 측면을 공부하시려면 좀더 자료를 찾아 보시고 여기서는 간략하게 Linux 에서 ftp를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계념및 정보들을 알려드리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일반사람들이 자신의 계정이나 혹은 무계정으로 ftp에 접속하여 홈페이지자료를 올린다거나 음악,영화,프로그램의 저장목적으로 많이 사용하며 기타 저장매체가 없어도 인터넷만 된다면 아주 효율적으로 자료를 확보할수있기 때문에 ftp를 씁니다. 관리자 입장에서는 백업과 서버이전작업시 꼭 필요한 서비스이겠지요... ^^ 먼저 ftp는 port 21 을 사용합니다. 보통전송모드에는 아스키모드(일반모드) 와 패시브모드(보안이강화된 모드) 가 있습니다. 우리가 설치할(컴파일로) proftp 의 설정파일은 서버단에서 /usr/local/proftpd/conf/proftpd.conf 입니다. 설정파일인 proftpd.conf 에서 ftp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셋팅할수있습니다. 그내용은 이 강좌 마지막부분에서 낫낫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럼 이제 사뿐히 설치해 볼까요... (컴파일로 설치합니다. rpm은 누구나 한번에 설치다 하니 추후에...) 2. PROFTP 컴파일 설치하기 ##########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하기 ########## => 서버에서 LISTEN 하고 있는 서비스들을 봅니다. [root@lecture ~]# netstat -anp | grep LISTEN 자 위의 결과처림 아직 21번포트를 LISTEN하고 있는 ftp 서비스는 보이질 않는고 sendmail 및 ssh등의 서비스만이 있음을 알수있다. 그리고 pstree라는 명령어로 ftp프로세서가 있는지도 확인해 봅니다. 혹시나 설치가 되어있더라도 중복설치 가능하니 걱정말고 다음 관정으로 넘어간다.주의할점은 어떤것이든지 덮어씌워 설치를 할때는 그 서비스는 내려놓고 하는것이 정석입니다. ^^ proftp 를 다운받아 설치하기 항상 말하는것이지만 컴파일설치시 보통 /usr/local/에서 주로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적인것은 아니며 만약 rpm으로 설치를 하시면 경로는 대부분 /etc/아래에 설정파일같은것들이 다 들어가게 됩니다. 참고하시구요. 다음과같이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 proftp 컴파일하여 설치하기 ########## cd /usr/local wget http://ftp.suidc.com/pub/FTP/proftpd/proftpd-1.2.10.tar.gz tar xvfz proftpd-1.2.10.tar.gz cd proftpd-1.2.10 ./configure prefix=/usr/local/proftpd make && make install 위의 절차대로 /usr/local/로 이동하여 소스파일을 다운받고 압축을 풀어서 컨피귤러 한다음 make 와 make install 을 해 주면 설치가 끝납니다. 컴파일이라고는 하나 rpm만큼이나 쉽게 설치할수있습니다. ftp는 설치도 중요하겠지만 더욱더 중요한것은 아마 다음 내용인 셋팅부분이(proftpd.conf) 아닌가 합니다. 설치가 에러없이 끝났으면 서비스를 실행시키기위해 설정파일을 분석해봅시다. proftp의 실행은 /usr/local/proftpd/sbin/proftpd 하시면 됩니다. 확인은 위에서 해보았듯이 netstat -anp | grep LISTEN 이나 pstree, ps등으로 확인할수있습니다. [root@lecture ~]# netstat -anp | grep LISTEN 3. proftpd.conf 완전 분석하기 ftp의 계념과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별 어려움 없이 넘어오셨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설치후 기본적인 셋팅과 보안적인 셋팅등 입맛에 맛게 ftp를 설정하는데 /usr/local/proftpd/conf/proftpd.conf 설정파일이 그것이며 기본셋팅및 다른 어떤 셋팅 항목들이 있는지 직접 설정파일을 열어 항목들과 설명만 정리하였습니다. 빨간색 부분은 최소 기본적으로 해주셔야 할 것들이고 나머지는 상황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 proftpd.conf ========================================================== vi /usr/local/proftpd/etc/proftpd.conf 분석 # 로그인시 보여줌 암거나 적어. ServerName "ProFTPD RhapSody Welecome to FTP ^^" # inetd 와 standalone 모드 선택 ServerType standalone # 주 IP address 또는 설정블록에서 지정되어진 address중의하나가 아닌 IP address로 # 들어오는 커넥션이 있을때 기본으로 사용되어질 서버설정 ( 먼말이야 ㅡ.,ㅡ ) DefaultServer on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