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설정 단계 보기..
네임서버 설정을 하실때 대부분의 에러는 존파일에서 나타납니다.
한가지 방법만 하지마시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나중에 도움도 되고요....
존파일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보세요!
참고로 지금 잘돌아가는 네임서버의 존파일을 참고했습니다.
---------------------------------------------------------------
$TTL 86400
@ IN SOA ns1.sample2.co.kr. admin.sample2.co.kr. (
15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1.sample2.co.kr.
IN NS ns2.sample3.co.kr.
;
IN MX 10 mail.sample2.co.kr.
;
;
sample2.co.kr. IN A 210.100.20.150
ns1 IN A 210.100.20.150
ns2 IN A 211.***.**.***
www IN A 210.100.20.150
webmail IN A 210.100.20.150
mail IN A 210.100.20.150
;
* IN A 210.100.20.15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존파일 참고하시고요...
제가 봤을땐 전체적으로 구성이 미흡한 것 같습니다.
/etc/named.conf
/var/named/sample2.co.kr.zone
위의 두가지만 설정한다고 네임서버설정이 제대로 되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기본네임서버 설정파일인
/etc/resolv.conf
를 우선적으로 설정해주셔야 되고요...
이외에
/etd/hosts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파일인
/etc/sysconfig/network
의 설정을 제대로 하셨는지부터 점검해보세요!
그러면 전체적인 네임서버 설정을 구성해보겠습니다.
DNS(Domain Naming System) 서버
보통 네임서버라고 하는데 네임서버의 역할은 아이피와 도메인의 다리역할을 한다고보면 됩니다.
예)
210.100.20.150 <--네임서버--> sample2.co.kr
아이피와 도메인을 매핑(mapping) 즉, 연결시켜준다는거죠.
목적 : IP주소를 별칭(도메인)으로 지정하여서 간편하게 사용
=>아무래도 아이피를 외우는것보다는 도메인을 외우는게 쉽기때문이죠...
DNS를 전체적인 세팅 절차를 적어보겠습니다.
① 도메인 명을 등록한다.
② 네임서버로 사용할 시스템의 /etc/hosts 파일에 등록한 네임 서버의 정보(호스트명과 도메인 어드레스)를 추가한다.
/etc/hosts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210.100.20.150 ns.sample2.co.kr ns //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추가했다.
③ /etc/resolv.conf 파일에 1차 네임서버로 등록한 네임서버의 정보를 입력한다.
==>resolv.conf 는 네임서버를 지정해주는 파일이다.
가장 기본이되는 네임서버 설정파일입니다.
/etc/resolv.conf
search ns.sample2.co.kr
nameserver 210.100.20.150 // IP주소
nameserver *.*.*...
④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hostname과 domainname 을 추가한다.
hostname에는 보통 네임서버의 호스트이름인 ns를 사용하며,
domainname에는 도메인 이름을 기입한다.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 = yes
HOSTNAME = ns
DOMAINNAME = sample2.co.kr
GATEWAY = 210.100.20.1
=>HOSTNAME 과 DOMAINNAME 을 추가해주었습니다.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서 network 데몬을 재시작해줍니다.
#/etc/rc.d/init.d/network restart
또는
#service network restart
☞ 여기에서 service 는
#setup치고 들어가면
System Service 목록에 있는것들인데 체크가 되어있는것은 리눅스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는 데몬들이고 체크가 되지않은것은 실행되지 않은 데몬들입니다.
(이러한 데몬들은 /etc/rc.d/init.d/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MS 윈도우의 서비스와 같은 개념인데...
즉, MS 윈도우에서는 서비스라 부르고 리눅스에서는 데몬이라 부르죠...
⑤ /etc/named.conf 파일에 forward zone 파일과 reverse zone 파일에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named.conf 는 네임서버 설정파일이다.
⑥ /var/named 디렉토리에 forward zone 파일과 reverse zone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존 파일은 /etc/named.conf 파일에서 지정한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⑦ named 데몬을 재실행하여 변경된 내용을 반영한다.
#/etc/rc.d/init.d/named restart
또는
#service named restart
⑧ named 데몬이 살아있는지 확인한다.
#ps aux | grep named
named 641 0.0 0.8 29624 1056 ? S 17:52 0:00 [named]
root 1428 0.0 0.4 3548 528 pts/0 S 20:33 0:00 grep named
⑨ nslookup 이나 host 또는 dig명령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네임서버가 제대로 동작되는지 확인한다.
#nslookup sample2.co.kr
Note: nslookup is deprecated and may be removed from future releases.
Consider using the `dig' or `host' programs instead. Run nslookup with
the `-sil[ent]' option to prevent this message from appearing.
Server: 210.100.20.150
Address: 210.100.20.150#53
Name: sample2.co.kr
Address: 210.100.20.150
#
네임서버의 전체전인 설정은 대략 이렇습니다. ^^
보니가 여러번 해보신 분이니 전체적인 설정을 정리해봤습니다.
네임서버 설정을 몇줄로 정리한다는건 좀 무리죠...
참고만 하세요.
네임서버 이녀석이 의외로 섬세한 녀석입니다.
꼼꼼히 해주지 않으면 작동을 안하거든요...^^
네임서버 설정 꼭 성공하세요!!
한가지 방법만 하지마시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나중에 도움도 되고요....
존파일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보세요!
참고로 지금 잘돌아가는 네임서버의 존파일을 참고했습니다.
---------------------------------------------------------------
$TTL 86400
@ IN SOA ns1.sample2.co.kr. admin.sample2.co.kr. (
15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1.sample2.co.kr.
IN NS ns2.sample3.co.kr.
;
IN MX 10 mail.sample2.co.kr.
;
;
sample2.co.kr. IN A 210.100.20.150
ns1 IN A 210.100.20.150
ns2 IN A 211.***.**.***
www IN A 210.100.20.150
webmail IN A 210.100.20.150
mail IN A 210.100.20.150
;
* IN A 210.100.20.15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존파일 참고하시고요...
제가 봤을땐 전체적으로 구성이 미흡한 것 같습니다.
/etc/named.conf
/var/named/sample2.co.kr.zone
위의 두가지만 설정한다고 네임서버설정이 제대로 되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기본네임서버 설정파일인
/etc/resolv.conf
를 우선적으로 설정해주셔야 되고요...
이외에
/etd/hosts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파일인
/etc/sysconfig/network
의 설정을 제대로 하셨는지부터 점검해보세요!
그러면 전체적인 네임서버 설정을 구성해보겠습니다.
DNS(Domain Naming System) 서버
보통 네임서버라고 하는데 네임서버의 역할은 아이피와 도메인의 다리역할을 한다고보면 됩니다.
예)
210.100.20.150 <--네임서버--> sample2.co.kr
아이피와 도메인을 매핑(mapping) 즉, 연결시켜준다는거죠.
목적 : IP주소를 별칭(도메인)으로 지정하여서 간편하게 사용
=>아무래도 아이피를 외우는것보다는 도메인을 외우는게 쉽기때문이죠...
DNS를 전체적인 세팅 절차를 적어보겠습니다.
① 도메인 명을 등록한다.
② 네임서버로 사용할 시스템의 /etc/hosts 파일에 등록한 네임 서버의 정보(호스트명과 도메인 어드레스)를 추가한다.
/etc/hosts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210.100.20.150 ns.sample2.co.kr ns //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추가했다.
③ /etc/resolv.conf 파일에 1차 네임서버로 등록한 네임서버의 정보를 입력한다.
==>resolv.conf 는 네임서버를 지정해주는 파일이다.
가장 기본이되는 네임서버 설정파일입니다.
/etc/resolv.conf
search ns.sample2.co.kr
nameserver 210.100.20.150 // IP주소
nameserver *.*.*...
④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hostname과 domainname 을 추가한다.
hostname에는 보통 네임서버의 호스트이름인 ns를 사용하며,
domainname에는 도메인 이름을 기입한다.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 = yes
HOSTNAME = ns
DOMAINNAME = sample2.co.kr
GATEWAY = 210.100.20.1
=>HOSTNAME 과 DOMAINNAME 을 추가해주었습니다.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서 network 데몬을 재시작해줍니다.
#/etc/rc.d/init.d/network restart
또는
#service network restart
☞ 여기에서 service 는
#setup
System Service 목록에 있는것들인데 체크가 되어있는것은 리눅스 부팅과 동시에 실행되는 데몬들이고 체크가 되지않은것은 실행되지 않은 데몬들입니다.
(이러한 데몬들은 /etc/rc.d/init.d/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MS 윈도우의 서비스와 같은 개념인데...
즉, MS 윈도우에서는 서비스라 부르고 리눅스에서는 데몬이라 부르죠...
⑤ /etc/named.conf 파일에 forward zone 파일과 reverse zone 파일에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named.conf 는 네임서버 설정파일이다.
⑥ /var/named 디렉토리에 forward zone 파일과 reverse zone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존 파일은 /etc/named.conf 파일에서 지정한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⑦ named 데몬을 재실행하여 변경된 내용을 반영한다.
#/etc/rc.d/init.d/named restart
또는
#service named restart
⑧ named 데몬이 살아있는지 확인한다.
#ps aux | grep named
named 641 0.0 0.8 29624 1056 ? S 17:52 0:00 [named]
root 1428 0.0 0.4 3548 528 pts/0 S 20:33 0:00 grep named
⑨ nslookup 이나 host 또는 dig명령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네임서버가 제대로 동작되는지 확인한다.
#nslookup sample2.co.kr
Note: nslookup is deprecated and may be removed from future releases.
Consider using the `dig' or `host' programs instead. Run nslookup with
the `-sil[ent]' option to prevent this message from appearing.
Server: 210.100.20.150
Address: 210.100.20.150#53
Name: sample2.co.kr
Address: 210.100.20.150
#
네임서버의 전체전인 설정은 대략 이렇습니다. ^^
보니가 여러번 해보신 분이니 전체적인 설정을 정리해봤습니다.
네임서버 설정을 몇줄로 정리한다는건 좀 무리죠...
참고만 하세요.
네임서버 이녀석이 의외로 섬세한 녀석입니다.
꼼꼼히 해주지 않으면 작동을 안하거든요...^^
네임서버 설정 꼭 성공하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